IAU의 투표결과: 안녕, 명왕성! 물리 이야기

조금전 체코 프라하에서 열리고 있는 IAU 정규회합의 투표로 행성의 정의가 결정되었고, 결국 명왕성이 행성 목록에서 제외되었다고 합니다.

Pluto Is No Longer a Planet, Astronomers Say, Washington Post, Aug. 24

공식적으로 다음과 같은 행성의 정의가 내려지게 되었습니다.

A planet is a celestial body that

(a) is in orbit around the Sun,
(b) has sufficient mass for its self-gravity to overcome rigid body forces so that it assumes a hydrostatic equilibrium (nearly round) shape, and
(c) has cleared the neighbourhood around its orbit.


(a)와 (b)를 만족하지만 (c)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천체는 "난쟁이 행성 (dwarf planet)" 이라는 명칭으로 부르기로 했다고 합니다. 해왕성 바깥에 있는 행성에 대해 "명왕성적 천체 (Plutonian Objects)"라고 이름 붙이자는 제안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합니다.

태양계 행성이 9->12->8 개로 바뀌는 지난주-이번주가 지나가고 있네요.
역사적 순간이라고 해야할까요? I don't really think so.

**참조: Farewell Pluto, Scientific American, Aug. 24

덧글

  • SoGuilty 2006/08/25 01:25 #

    늘리느니 줄이겠다는 결정이군요. 각박한 세상입니다. (뭣)
  • 와니 2006/08/25 02:25 # 삭제

    그렇게 되는군요.
    전 새로운 행성들이 들어올줄 알았더니 흐으..
  • 저공비행사 2006/08/25 02:33 #

    우와...정말 역사적인 순간이군요. 과학책이 우선 바뀌겠군요 후훗.
  • 쿨짹 2006/08/25 06:29 #

    뭐가 복잡하군요. 여기저기서 이런저런 일이 일어나고 있다는 소리는 들었습니다만.. ㅋㅋ
  • ExtraD 2006/08/25 06:46 #

    명왕성을 쌍행성 정도로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더군요. 근처를 돌고있던 녀석과 묶어서요. (이름은 기억하지 못하겠네요. ^ㅅ^ )
  • 冷箭 2006/08/25 09:20 #

    학생들은 좋겠군요.
  • 하늘나레 2006/08/25 09:23 # 삭제

    이런 하데스가 사라지는군요. 명왕이라는 무시무시한 칭호와는 달리 꽤 귀여운 행성이었는데 명왕성 크기가 매우 작다는 얘기를 다큐에서 보고 놀랐던 기억이 나네요.
  • 유하 2006/08/25 10:06 #

    또 한번 놀라운 결과네요 ~
  • ExtraD 2006/08/25 11:27 #

    명왕성이 달보다 작다는 거.. ^^
  • 시퍼렁어 2006/08/25 13:07 #

    수금지화목토천해.... 되겠습니다. 그나저나... 명칭 바꿔 봤자 우주가 바뀌겠습니까 허허허허허
  • 세냔카 2006/08/25 13:08 #

    ......우에 ;ㅁ; 명왕성은 내 수호성이였는데 (..)
  • 시퍼렁어 2006/08/25 13:09 #

    세난카// 이참에 바꾸세요 아름다운 플라이아데스 성단이나 그런쪽으로
  • stvast 2006/08/25 17:38 # 삭제

    Clyde Tombough 교수님, 지금쯤 지하에서 통곡하실지도 모르겠군요..
  • ExtraD 2006/08/25 20:52 #

    오래전 천문학자들의 실수를 바로잡은 걸로 보는 견해가 있더군요.
  • znee 2006/08/26 00:32 #

    소행성과 난쟁이 행성의 차이는 뭐에요?
  • znee 2006/08/26 00:33 #

    안녕, 명왕성! 이라고 말하고 싶었지만 꾹 참고 있었는데, extraD 님께서 그렇게 외치시다니. 흑흑.
  • rainyvale 2006/08/26 13:41 # 삭제

    행성의 '정의'보다는 판정기준(criterion) 정도가 맞는것 아닐까 하는 생각을 잠깐... ^^
  • clair 2006/08/29 15:19 #

    이런저런 말이 많았었죠? ^^; 미국이 발견한 단 하나의 행성이어서 미국 천문학자들의 지지를 받았는데, 유럽의 학자들이 표수로 눌러버렸다는 둥..
  • sesism 2006/08/30 14:57 #

    쓸모없다고 없애다니 흑흑
    오늘 점심시간에 소장님과 대리님들이 절 보고 "넌 어느 별에서 왔니, 없앤다는 그 거기 거시기 어디냐 명왕성 그래 너 명왕성에서 왔구나" -_-
※ 이 포스트는 더 이상 덧글을 남길 수 없습니다.



Physics

\begin{eqnarray} \hbar c =197.3 \text{MeV fm}\\ (\hbar c)^2=0.389 \rm{GeV}^2 \rm{mb}\\ 1.0{\rm pb}=\frac{2.568\times 10^{-3}}{\rm TeV^2}\\ =10^{-40} {\rm m}^2 \end{eqnarray}

추천 읽을 거리(click!)


-대칭성의 자발적 붕괴
-대학원생을 위한 조언
-차원변환(DT)
-중성미자가 가벼운 이유 (1, 2, 3)
-힉스입자가 발견되면 좋은 점
-물리학자의 나이와 전성기
-시드니 콜만의 전설적인 강의

mathjax